본문 바로가기
일상정보모음

동지에 대해서-동지 특징, 동지에 팥먹는 이유, 동지 종류

by neulchae 2024. 12. 20.

동지는 한국을 포함한 여러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절기로,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날입니다. 이 절기는 24절기 중 스물두번째에 해당하며,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도달할 때 발생합니다.

동지는 매년 12월21일 또는 22일에 해당하며, 음력으로는 11월에 해당하는 달로 알려져 있습니다.

동지의 특징

  • 가장 긴 밤과 짧은 낮:동지는 북반구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,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습니다. 이는 태양이 남회귀선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입니다.
  • 기후 변화:동지 시점부터 겨울의 추위가 본격화되며, 북반구에서는 기온이 낮아지고 남반구에서는 여름으로 접어듭니다.

전통 및 풍습

동지와 관련된 여러 가지 전통과 풍습니 있습니다.

  • 팥죽 먹기:한국에서는 동지에 팥죽을 먹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입니다. 팥죽은 액운을 막고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지니며, 먹으면 한 살 더 먹는 것으로 여겨집니다.
  • 귀신 쫓기: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거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급이 있으며, 이는 악귀를 쫓고 좋은 기운을 불러오는 의식으로 여겨집니다.
  • 서당 입학식: 전통적으로 동지는 서당의 입학식으로 여겨졌으며, 이는 낮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면서 학문을 꺠우치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.

종류

동지는 음력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.

  • 애동지:음력 11월 초순에 해당하며, 이때는 팥죽 대신 팥시루 떡을 해 먹습니다.
  • 중동지:음력 11월 중순에 해당합니다.
  • 노동지:음력 11월 하순에 해당합니다.

동지는 단순한 절기가 아니라, 한국의 전통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는 중요한 날로, 가족과 공동체가 함께 모여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는 기회로 여겨집니다.

민속놀이

  • 풍등 놀이:경상남도에서 전해지는 풍등 놀이는 동짓날 저녁에 이웃 서당의 아이들과 등불로 싸우는 놀이입니다. 대형 풍등을 띄운 후, 서로의 등불을 끄는 방식으로 진행되며, 현재는 통영에서 재현되고 있습니다.
  • 전통 게임:제기차기, 사방치기, 비석치기와 같은 전통 놀이도 동지와 관련하여 자주 이루어집니다. 이러한 놀이는 협동심과 전통 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